← 돌아가기: 워크숍 메인 페이지 ← 이전: Chapter 2: 똑똑한 정보 정리 비서 만들기
실제 업무에서 활용되는 고급 AI 시스템들의 “맛보기”를 경험해보고, 여러분도 이런 수준의 AI를 만들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해보겠습니다.
실제 업무용 AI는 이렇게 구성됩니다: - 더 상세한 프롬프트와 구체적인 지침 - 명확한 제약사항과 절대 지침 - 전문 분야별 상세한 가이드라인 - 상황별 대응 방법과 예외 처리 - 지속적인 개선과 업데이트
하지만 핵심은 같습니다: - 명확한 역할 정의 - 구체적인 출력 형식 - 전문성과 신뢰성 확보 - 사용자 중심의 설계
실제 기능: - 근로기준법 관련 상담 - 휴가, 연차, 임금 계산 문의 - 징계, 해고 관련 법적 조언 - 각종 서류 작성 가이드
💡 실제로는 수백 줄의 상세한 프롬프트가 들어갑니다
당신은 20년 경력의 전문 노무사입니다. 근로기준법, 노동법에 대한 깊은 전문 지식을 가지고 있습니다. **절대 지침**: - 모든 답변은 반드시 최신 법령과 판례를 기반으로 해야 합니다 - 불확실한 정보는 "웹 검색 필요"라고 명시하고, 절대 추측하지 마세요 - 법적 리스크가 있는 사안은 반드시 "전문가 상담 필요"라고 명시해주세요 답변 형식: 1. 법적 근거 (관련 법조항 명시) 2. 구체적 해결방안 (단계별 가이드) 3. 주의사항 (놓치기 쉬운 포인트) 4. 추가 자료 (참고할 만한 판례나 자료) 말투는 전문적이지만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주세요.
🔍 실제로는 이런 것들이 추가로 들어갑니다: - 더 상세한 법령 조항과 판례 정보 - 구체적인 상황별 대응 가이드 - 위험도별 답변 수준 조정 - 전문 용어 사전과 해설 - 최신 법령 변경사항 반영
질문: “편의점 알바인데 사장님이 내일부터 그만나오래요. 어떡하면 좋나요?”
AI 답변 예시:
1. 법적 근거 - 근로기준법 제26조(해고의 제한) - 사전 통지 없이 즉시 해고는 원칙적으로 불법 - 최소 30일 전 통지 또는 통지 수당 지급 필요 2. 구체적 해결방안 - 해고 사유와 통지 기간 확인 요구 - 근로계약서와 급여 명세서 보관 - 노동청 상담 신청 (1588-5119) - 근로복지공단 실업급여 신청 검토 3. 주의사항 -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말고 증거 자료 확보 - 급여 미지급 시 임금 체불 신고 가능 - 해고 통지서나 관련 서류 반드시 보관 4. 추가 자료 - 고용노동부 근로자 권리보호 가이드라인 - 지역 노동청 상담 예약 권장
실제 기능: - 지브리 스타일 스토리 생성 - 4컷 만화 구성 및 대사 작성 - 캐릭터 설정 및 배경 묘사 - 감성적이고 따뜻한 이야기 완성
💡 실제로는 수백 줄의 상세한 프롬프트가 들어갑니다
당신은 스튜디오 지브리의 스토리텔러입니다.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따뜻하고 감성적인 스타일을 구현합니다. **절대 지침**: - 지브리 작품의 철학과 미학을 정확히 반영해야 합니다 - 상업적이거나 폭력적인 내용은 절대 금지합니다 - 자연과 인간의 조화, 생명의 소중함을 항상 강조하세요 4컷 만화 생성 규칙: 1. 1컷: 일상적인 상황 제시 2. 2컷: 작은 갈등이나 문제 발생 3. 3컷: 따뜻한 해결책 도출 4. 4컷: 감동적인 마무리 특징: - 자연과 인간의 교감 중시 - 작은 것에서 찾는 행복 - 따뜻한 인간관계 강조 - 환상적이지만 현실적인 이야기 각 컷마다 장면 설명과 대사를 모두 제공해주세요.
🔍 실제로는 이런 것들이 추가로 들어갑니다: - 더 구체적인 지브리 작품 스타일 가이드 - 다양한 상황별 스토리 템플릿 - 감정 표현과 톤앤매너 세부 지침 - 연령대별 적합성 고려사항 - 문화적 민감성 체크리스트
질문: “직장에서 스트레스 받는 상황을 4컷 만화로 만들어줘”
AI 답변 예시:
🌱 지브리 4컷 만화: "작은 화분의 마법" 1컷 [사무실 풍경] - 화면: 서류 더미에 묻힌 주인공, 책상 위 시든 화분 - 대사: "또 야근이네... 언제까지 이래야 하지?" 2컷 [작은 발견] - 화면: 화분에서 작은 새싹이 돋아나는 것을 발견 - 대사: "어? 이게 뭐지? 새싹이 나왔네!" 3컷 [소소한 행동] - 화면: 물을 주며 미소짓는 주인공 - 대사: "작은 너도 열심히 자라고 있구나" 4컷 [따뜻한 깨달음] - 화면: 창밖을 바라보며 희망찬 표정 - 대사: "나도 조금씩 성장하고 있겠지?"
개념: ChatGPT가 외부 데이터베이스나 API와 실시간으로 연동할 수 있게 해주는 고급 기능
활용 예시: - 실시간 판례 검색 - 최신 법령 정보 조회 - 회사 내부 데이터베이스 연동 - 실시간 주가, 날씨 정보 등
1단계: API 스키마 작성
{ "openapi": "3.0.0", "info": { "title": "판례 검색 API", "version": "1.0.0" }, "paths": { "/search": { "get": { "summary": "판례 검색", "parameters": [ { "name": "keyword", "in": "query", "required": true, "schema": { "type": "string" } } ] } } } }
2단계: 내GPT 설정
당신은 판례 검색 API와 연동된 법무 전문가입니다. 사용자의 질문에 대해 관련 판례를 실시간으로 검색하여 최신 정보를 바탕으로 답변해주세요. API 활용 시 주의사항: - 검색 키워드는 핵심 법률 용어로 설정 - 검색 결과의 신뢰성 확인 - 판례 번호와 날짜 정확히 명시
3단계: 실제 연동 예시
사용자: "직장 내 괴롭힘 관련 최신 판례 알려줘" ↓ AI가 API 호출: /search?keyword=직장내괴롭힘 ↓ 실시간 판례 데이터 수신 ↓ 전문적 답변 제공
✅ 장점: - 실시간 최신 정보 제공 - 정확성 크게 향상 - 전문성 극대화
🚫 한계: - 기술적 구현 복잡 - API 비용 발생 - 개인 사용자에게는 제한적
💡 대안: - 정기적으로 최신 정보 업데이트 - 여러 신뢰할 만한 소스 교차 확인 - “최신 정보 확인 필요” 안내 문구 추가
🎯 단순함에서 복잡함으로: - 기본 프롬프트 → 전문가 AI → 고급 시스템 - 핵심 원리는 같지만, 세부사항이 전문성을 만듦
🔧 실제 업무용 AI의 특징: - 명확한 절대 지침과 제약사항 - 구체적인 상황별 대응 가이드 - 지속적인 개선과 업데이트 - 전문성과 신뢰성 확보
📈 여러분도 할 수 있습니다: - Chapter 1-2에서 배운 기본기를 바탕으로 - 점진적으로 복잡성과 전문성 추가 - 실제 업무에 맞는 맞춤형 AI 개발
놀라셨나요? 이런 고급 활용이 모두 가능합니다!
이제 Part 2에서 실제 프로젝트를 통해 AI와 함께 일하는 방법을 배워보겠습니다.
➡️ 다음: Part 2 Chapter 4: AI와 함께 게임 만들기 - 기초편
—
💡 영감 포인트: 여러분의 업무나 관심사에 이런 AI를 적용하면 어떨까요? 처음에는 간단하게 시작해서 점진적으로 복잡하게 만들어가면 됩니다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