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발 문서
이 페이지는 DokuWiki 개발 및 관련 기술 문서들을 모아놓은 곳입니다.
주요 개발 프로젝트
개발 도구 및 환경
API 및 외부 서비스
개발된 플러그인
geminidraft: Gemini
API 기반 AI 초안 생성 플러그인
AI 초안 생성 및 텍스트 수정 기능
사용량 제한 (분당 10회, 일일 500회)
반응형 디자인 지원
-
개발 환경 구성
로컬 개발 환경
XAMPP: 로컬 웹서버 환경
Git: 버전 관리 시스템
VS Code: 코드 에디터
Cursor AI: AI 기반 개발 도구
서버 배포 환경
라즈베리파이: 서버 호스팅
Apache: 웹서버
PHP: 서버 사이드 스크립트
Git: 자동 동기화
협업 워크플로우
PC: 콘텐츠 대량 생산 (AI 활용)
서버: 팀 협업 공간
GitHub: 중앙 저장소
자동 동기화: 5분마다 자동 업데이트
기술 스택
백엔드 기술
PHP: 서버 사이드 언어
DokuWiki: 위키 엔진
MySQL: 데이터베이스 (선택사항)
Apache: 웹서버
프론트엔드 기술
AI 및 외부 서비스
-
cURL: HTTP 통신
JSON: 데이터 형식
-
개발 프로세스
1. 환경 설정
1. **로컬 환경 구축**: XAMPP 설치 및 설정
2. **Git 저장소 초기화**: 버전 관리 시작
3. **GitHub 연결**: 원격 저장소 설정
4. **서버 배포**: 라즈베리파이에 배포
2. 플러그인 개발
1. **요구사항 분석**: 기능 정의 및 설계
2. **플러그인 구조 생성**: 기본 파일 생성
3. **백엔드 로직 구현**: PHP 코드 작성
4. **프론트엔드 개발**: JavaScript/CSS 작성
5. **테스트 및 디버깅**: 기능 검증
6. **배포 및 문서화**: 설치 가이드 작성
3. 콘텐츠 관리
1. **AI 활용 콘텐츠 생성**: Cursor AI로 대량 생성
2. **수동 편집 및 보완**: 팀원들의 추가 작업
3. **자동 동기화**: Git을 통한 실시간 업데이트
4. **백업 및 버전 관리**: 안전한 데이터 관리
문제 해결
일반적인 문제들
디버깅 도구
최근 업데이트
2024-07-30: Gemini
API 연동 플러그인 개발 완료
2024-07-30: Floating New Post 플러그인 개발 완료
2024-07-30: DokuWiki 개발 환경 구축
2024-07-30:
CSS 트러블슈팅 가이드 작성
2024-07-30: 협업 워크플로우 구축 완료
관련 링크