====== AI와 함께 10분 만에 프레젠테이션 완성하기 ====== **← 돌아가기**: [[wiki:lecture:showcase:start|실제 활용 사례 모음]] > 💡 **프로젝트 개요**: 이 문서는 텍스트 기반의 위키 강의자료([[wiki:lecture:start|AI 협업 능력 레벨업 워크숍]])를 단 10분 만에 전문가 수준의 인터랙티브 프레젠테이션으로 완성한 실제 워크플로우를 기록합니다. ===== 💡 GUI와 AI 협업의 패러독스 ===== MS Office를 비롯한 다양한 유저친화적 프로그램들은 **시각적이고 직관적인 GUI**를 채택하고 있습니다. 이는 사용자의 빠른 적응과 편리성을 돕지만, **동시에 AI와의 협업을 통한 생산성의 폭발적 증대를 저해하는 핵심 요소**이기도 합니다. 반면, **리눅스 명령어, 터미널 조작, html을 비롯한 텍스트 기반 코드**에 익숙해지면, 작업 능률이 향상되고 오류 발생 가능성도 줄어듭니다. 이유는 명확합니다. **텍스트 생성은 AI의 핵심 능력**이기 때문입니다. AI는 GUI가 아닌, 텍스트 기반의 명령어와 코드, 마크업 언어를 통해 가장 효율적으로 협력할 수 있습니다. ===== 🚀 5단계 핵심 워크플로우 ===== > 🎯 **핵심 철학**: 인간이 **'지휘자'**가 되어 명확한 목표를 제시하고, 각기 다른 강점을 가진 AI들을 **'오케스트라'**처럼 활용하여 프로젝트를 완성합니다. ==== 1단계: 프레젠테이션 도구 선정 (1분) ==== **📋 작업 개요** - **목표**: HTML로 만들 수 있는 가장 멋진 프레젠테이션 도구 찾기 - **담당**: **Gemini** (브레인스토밍 파트너) **💬 실제 요청** "웹에서 가장 인기 있고 모던한 HTML 프레젠테이션 라이브러리/프레임워크 5개만 추천해줘. 각 라이브러리의 장점과 언제 사용하면 좋은지도 간단히 설명해줘." **✅ 결과**: **Reveal.js** 채택. 인터랙티브 기능과 아름다운 테마, 쉬운 사용법이 강점으로 꼽혔습니다. ==== 2단계: 강의 콘텐츠 핵심 요약 (3분) ==== **📋 작업 개요** - **목표**: 전체 위키 폴더의 핵심 메시지를 프레젠테이션 초안으로 정리 - **담당**: **Cursor AI + Claude 4 Sonnet** (맥락 이해 및 텍스트 요약 전문가) **💬 실제 요청** - **Context**: `@/lecture` 폴더 전체를 컨텍스트로 첨부 - **Prompt**: "@/lecture 폴더의 전체 내용을 분석해서, 10장짜리 발표 자료의 텍스트 초안을 만들어줘. 각 장마다 핵심적인 문장과 인사이트를 한두 줄로 요약해줘." **✅ 결과**: AI가 전체 강의의 철학(A-B-C 프로세스), 핵심 키워드, 학습 경험 등을 정확히 요약한 텍스트 초안 생성. ==== 3단계: 시각적 구현 (4분) ==== - **목표**: 텍스트 초안을 세련된 Reveal.js 코드로 변환 - **담당**: **Gemini** (코드 생성 및 디자인 전문가) - **요청**: "아래 텍스트 초안을 기반으로, Reveal.js를 사용해 10페이지 분량의 프레젠테이션을 만들어줘. 전체적으로 매우 멋지고, 세련되고, 심플한 디자인으로 구성해줘. 핵심 철학과 인사이트가 잘 드러나도록 시각적으로 표현해줘." (2단계에서 생성된 텍스트 초안 붙여넣기) - **결과**: 디자인, 레이아웃, 인터랙티브 요소(애니메이션 등)가 모두 포함된 완성된 `lecture.html` 파일 생성. ==== 4단계: 검토 및 미세 조정 (2분) ==== - **목표**: AI가 생성한 결과물을 검토하고 완성도 높이기 - **담당**: **인간** (최종 의사결정권자, 품질 관리자) - **작업 내용**: - AI가 생성한 코드(`lecture.html`)를 브라우저에서 열어 전체 흐름 확인 -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폰트 종류(`Noto Sans KR`) 및 크기 등 CSS 일부 미세 조정 - 메시지 뉘앙스가 어색한 부분의 텍스트 수정 - **핵심**: AI가 만든 95%의 결과물에 인간의 최종 판단 5%를 더해 완성도를 극대화합니다. ==== 5단계: 완성 및 공유 ==== - **최종 결과물**: `lecture.html` (이 대화에 첨부된 파일 참고) - **총 소요 시간**: 약 **10분** - **성과**: - 전문가 수준의 디자인과 인터랙션을 갖춘 프레젠테이션 - 전통 방식 대비 **95% 이상의 시간 절약** - 아이디어를 현실로 만드는 과정의 혁신적인 경험 ===== 🎯 핵심 성공 요인 ===== **1. 명확한 목표 설정** - 구체적이고 달성 가능한 목표 - 각 단계별 명확한 역할 분담 **2. 효율적 소통** - AI와의 원활한 의사소통 - 적절한 컨텍스트 제공 **3. 기술적 활용** - 최신 웹 기술의 적절한 활용 - 텍스트 기반 환경의 장점 활용 **4. 품질 중심** - 완성도 높은 결과물 추구 - 인간의 최종 검토와 미세 조정 ===== 💡 핵심 인사이트 ===== 이 사례는 AI를 단순 코딩 도구가 아닌, **기획, 요약, 구현 등 각 단계에 특화된 능력을 가진 '협업 파트너'**로 활용할 때 얼마나 강력한 시너지를 낼 수 있는지 보여줍니다. **핵심 교훈**: - GUI의 한계를 넘어, **텍스트 기반 환경에서 AI는 가장 강력한 퍼포먼스를 발휘** - 인간은 더 높은 수준의 창의적인 기획과 최종 검증에 집중할 수 있게 됨 - **10분 만에 완성된 전문 프레젠테이션**은 AI 협업의 무한한 가능성을 보여줌 이제 **텍스트에서 시각적 표현까지**, AI와 함께라면 모든 것이 가능합니다. 🚀 ===== 관련 문서 ===== **프레젠테이션 파일**: - 실제 완성된 프레젠테이션: [[https://dreamofenc.com/lecture.html]] **관련 워크숍 자료**: - [[wiki:lecture:start|AI 협업 능력 레벨업 워크숍]] - [[wiki:lecture:showcase:start|실제 활용 사례 모음]] - [[wiki:lecture:showcase:wiki_content_automation|위키 콘텐츠 대량생산 사례]] **기술 참고 자료**: - [[https://revealjs.com/|Reveal.js 공식 문서]] - [[https://fonts.google.com/|Google Fonts]] - [[https://developer.mozilla.org/en-US/docs/Web/CSS|MDN CSS 문서]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