====== 기본 Git 명령어 - 초보자 완전 가이드 ====== **Git을 처음 사용하시나요?** 걱정하지 마세요! 이 가이드는 Git을 한 번도 사용해본 적이 없는 분들도 쉽게 따라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. 천천히 하나씩 따라해보세요! 🌟 ===== 🚀 시작하기 전에 - Git 설치하기 ===== ==== Windows 사용자 ==== # 1. Git 공식 사이트에서 다운로드 # https://git-scm.com/download/win # 2. 설치 후 명령 프롬프트에서 확인 git --version ==== Mac 사용자 ==== # Homebrew가 설치되어 있다면: brew install git # 또는 Xcode Command Line Tools 설치: xcode-select --install # 설치 확인 git --version ==== Linux 사용자 ==== # Ubuntu/Debian: sudo apt-get install git # CentOS/RHEL: sudo yum install git # 설치 확인 git --version ===== ⚙️ 첫 번째 설정 - 내 정보 등록하기 ===== **Git을 처음 사용할 때는 반드시 내 정보를 등록해야 합니다.** 이 정보는 내가 만든 커밋(저장)에 기록됩니다. # 내 이름 설정 (실제 이름 또는 닉네임) git config --global user.name "김개발" # 내 이메일 설정 (GitHub 계정 이메일과 동일하게 하는 것을 추천) git config --global user.email "kim@example.com" # 설정 확인하기 git config --list **💡 왜 이 설정이 필요한가요?** - Git은 누가 언제 어떤 변경을 했는지 기록합니다 - 여러 사람이 협업할 때 누가 작업했는지 구분하기 위해 필요합니다 - GitHub에서 내 기여도를 정확히 보여주기 위해서도 중요합니다 ===== 📁 저장소 만들기 - 내 첫 번째 프로젝트 ===== ==== 새 프로젝트 시작하기 ==== **1단계: 프로젝트 폴더 만들기** # 새 폴더 만들기 mkdir my-awesome-project cd my-awesome-project # 현재 위치 확인 pwd **2단계: Git 저장소로 만들기** # 이 폴더를 Git이 관리하도록 설정 git init # 성공하면 이런 메시지가 나옵니다: # "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in /path/to/my-awesome-project/.git/" **💡 ''git init''이 하는 일:** - 현재 폴더에 ''.git'' 숨김 폴더를 만듭니다 - 이 폴더에 Git이 필요한 모든 정보를 저장합니다 - 이제 이 폴더는 "Git 저장소"가 됩니다 **3단계: 첫 번째 파일 만들기** # 간단한 README 파일 만들기 echo "# 내 첫 번째 프로젝트" > README.md echo "안녕하세요! 이것은 제가 만든 첫 번째 Git 프로젝트입니다." >> README.md # 파일 내용 확인 cat README.md ===== 📊 상태 확인하기 - 지금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요? ===== ==== ''git status'' - 가장 중요한 명령어 ==== **Git을 사용할 때 가장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!** # 현재 상태 확인 git status **결과 예시:** On branch main No commits yet Untracked files: (use "git add ..." to include in what will be committed) README.md nothing added to commit but untracked files present (use "git add" to track) **💡 이 메시지가 의미하는 것:** - ''On branch main'': 현재 main 브랜치에 있습니다 - ''No commits yet'': 아직 저장(커밋)한 적이 없습니다 - ''Untracked files'': Git이 아직 관리하지 않는 파일들이 있습니다 - ''README.md'': 새로 만든 파일이 있습니다 ===== 📝 파일 추가하기 - Git에게 "이 파일을 관리해줘" 말하기 ===== ==== git add - 파일을 준비 구역에 올리기 ==== **Git에서 파일을 저장하는 과정은 2단계입니다:** - **준비 구역(Staging Area)에 올리기** ← 지금 하는 단계 - **실제로 저장하기(Commit)** ← 다음 단계 # 특정 파일 추가 git add README.md # 상태 확인 (항상 확인하는 습관을 기르세요!) git status **결과 예시:** On branch main No commits yet Changes to be committed: (use "git rm --cached ..." to unstage) new file: README.md **💡 이제 무엇이 바뀌었나요?** - ''Changes to be committed'': 저장할 준비가 된 변경사항이 있습니다 - ''new file: README.md'': README.md 파일이 새로 추가될 예정입니다 ==== 여러 파일 한 번에 추가하기 ==== # 모든 파일 추가 (주의: 정말 모든 파일이 추가됩니다) git add . # 특정 확장자 파일들만 추가 git add *.txt # 여러 파일 개별 추가 git add file1.txt file2.txt file3.txt **⚠️ 주의사항:** - ''git add .''은 모든 파일을 추가합니다 (비밀번호 파일이나 임시 파일도 포함!) - 처음에는 ''git add 파일명''으로 하나씩 추가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===== 💾 저장하기 - 내 작업을 기록으로 남기기 ===== ==== `git commit` - 실제로 저장하기 ==== **이제 준비 구역에 있는 변경사항을 실제로 저장해봅시다!** # 메시지와 함께 저장하기 git commit -m "첫 번째 커밋: README 파일 추가" # 성공하면 이런 메시지가 나옵니다: # [main (root-commit) a1b2c3d] 첫 번째 커밋: README 파일 추가 # 1 file changed, 2 insertions(+) # create mode 100644 README.md **💡 좋은 커밋 메시지 작성 팁:** - **한국어로 써도 괜찮습니다**: "로그인 기능 추가", "버그 수정" - **무엇을 했는지 명확히**: "버튼 색상 변경" (O) vs "수정" (X) - **현재형으로 작성**: "추가한다", "수정한다" - **50자 이내로 간결하게** ==== 커밋 메시지 예시 ==== # 좋은 예시들 git commit -m "로그인 페이지 UI 개선" git commit -m "사용자 인증 버그 수정" git commit -m "README 파일에 설치 방법 추가" git commit -m "메인 페이지 반응형 디자인 적용" # 피해야 할 예시들 git commit -m "수정" # 너무 모호함 git commit -m "ㅇㅇㅇ" # 의미 없음 git commit -m "asdf" # 의미 없음 ===== 📜 히스토리 보기 - 내가 지금까지 뭘 했는지 확인하기 ===== ==== `git log` - 커밋 기록 보기 ==== # 기본 로그 보기 git log # 한 줄로 간단히 보기 (추천!) git log --oneline # 그래프로 보기 (브랜치가 있을 때 유용) git log --oneline --graph # 최근 5개만 보기 git log --oneline -5 **결과 예시:** a1b2c3d (HEAD -> main) 첫 번째 커밋: README 파일 추가 **💡 로그에서 보는 정보:** - ''a1b2c3d'': 커밋 ID (각 커밋의 고유 번호) - ''(HEAD -> main)'': 현재 위치와 브랜치 정보 - ''첫 번째 커밋: README 파일 추가'': 커밋 메시지 ===== 🔄 일반적인 작업 흐름 - 매일 하게 될 작업들 ===== ==== 기본 워크플로우 ==== **이 순서를 기억하세요! 매일 반복하게 될 패턴입니다.** # 1. 현재 상태 확인 (습관적으로 하세요!) git status # 2. 파일 수정하기 (에디터에서 코드 작성) # ... 여기서 파일을 수정합니다 ... # 3. 다시 상태 확인 git status # 4. 변경된 파일 추가 git add 파일명 # 5. 또 다시 상태 확인 (정말 중요해요!) git status # 6. 커밋하기 git commit -m "의미있는 메시지" # 7. 로그 확인 git log --oneline ==== 실제 예제 - 웹사이트 만들기 ==== **실제로 간단한 웹사이트를 만들면서 Git을 사용해봅시다:** # 1. HTML 파일 만들기 echo " 내 첫 웹사이트

안녕하세요!

이것은 제 첫 번째 웹사이트입니다.

" > index.html # 2. 상태 확인 git status # 3. 파일 추가 git add index.html # 4. 커밋 git commit -m "메인 페이지 HTML 파일 추가" # 5. CSS 파일 만들기 echo "body { font-family: Arial, sans-serif; background-color: #f0f0f0; margin: 0; padding: 20px; } h1 { color: #333; text-align: center; }" > style.css # 6. 상태 확인 git status # 7. CSS 파일 추가하고 커밋 git add style.css git commit -m "기본 스타일 CSS 추가" # 8. 지금까지의 작업 확인 git log --oneline
===== 🔍 변경사항 확인하기 - 무엇이 바뀌었나요? ===== ==== `git diff` - 변경사항 자세히 보기 ==== # 아직 add하지 않은 변경사항 보기 git diff # 이미 add한 변경사항 보기 git diff --staged # 특정 파일의 변경사항만 보기 git diff 파일명 **결과 예시:** diff --git a/README.md b/README.md index 1234567..abcdefg 100644 --- a/README.md +++ b/README.md @@ -1,2 +1,3 @@ # 내 첫 번째 프로젝트 안녕하세요! 이것은 제가 만든 첫 번째 Git 프로젝트입니다. +이 줄이 새로 추가되었습니다. **💡 diff 읽는 방법:** - `---`: 이전 버전 - `+++`: 현재 버전 - `-`: 삭제된 줄 (빨간색으로 표시) - `+`: 추가된 줄 (초록색으로 표시) ===== 🗑️ 변경사항 되돌리기 - 실수했을 때 ===== ==== 아직 add하지 않은 변경사항 되돌리기 ==== # 특정 파일의 변경사항 되돌리기 git checkout -- 파일명 # 모든 변경사항 되돌리기 (주의!) git checkout -- . ==== add한 것을 취소하기 ==== # 특정 파일을 준비 구역에서 제거 git reset HEAD 파일명 # 모든 파일을 준비 구역에서 제거 git reset HEAD **⚠️ 주의사항:** - 이 명령어들은 변경사항을 완전히 삭제합니다 - 중요한 작업은 미리 백업해두세요 - 처음에는 조심스럽게 사용하세요 ===== 💡 초보자를 위한 팁과 주의사항 ===== ==== 🎯 좋은 습관들 ==== **1. 자주 상태 확인하기** # 명령어 실행 전후로 항상 확인 git status **2. 작은 단위로 커밋하기** - 큰 기능을 한 번에 커밋하지 말고, 작은 단위로 나누어 커밋 - 예: "로그인 기능 완성" 대신 "로그인 UI 추가", "로그인 검증 로직 추가" **3. 의미있는 커밋 메시지 작성하기** - 나중에 내가 봐도 이해할 수 있도록 - 팀원들이 봐도 이해할 수 있도록 ==== ⚠️ 피해야 할 실수들 ==== **1. 비밀번호나 개인정보 커밋하지 않기** # 이런 파일들은 절대 add하지 마세요! # - config.json (비밀번호 포함) # - .env (환경 변수) # - 개인 정보가 담긴 파일들 **2. 너무 많은 파일을 한 번에 add하지 않기** # 처음에는 이렇게 하지 마세요 git add . # 모든 파일 추가 (위험!) # 대신 이렇게 하세요 git add 파일명 # 하나씩 확인하며 추가 **3. 커밋 메시지 대충 쓰지 않기** # 나쁜 예 git commit -m "수정" git commit -m "ㅇㅇ" # 좋은 예 git commit -m "로그인 버튼 색상 변경" git commit -m "사용자 입력 검증 로직 추가" ===== 🚀 다음 단계 ===== **기본 명령어를 익혔다면 이제 다음 단계로 넘어가세요:** - **[[wiki:it:github:remote_operations|GitHub와 연동하기]]** - 내 코드를 인터넷에 올리기 - **[[wiki:it:github:branch_management|브랜치 사용하기]]** - 여러 기능을 동시에 개발하기 - **[[wiki:it:github:troubleshooting|문제 해결하기]]** - 막혔을 때 해결 방법 ===== 🔗 관련 용어 ===== **더 자세한 설명이 필요하시면 용어집을 확인하세요:** - [[wiki:glossary:development_tools:git:git|Git]] - Git이 무엇인지 자세한 설명 - [[wiki:glossary:development_tools:git:repository|Repository]] - 저장소 개념 - [[wiki:glossary:development_tools:git:commit|Commit]] - 커밋이 무엇인지 - [[wiki:glossary:development_tools:git:github|GitHub]] - GitHub 소개 ===== 📚 연습 문제 ===== **직접 해보면서 실력을 키워보세요:** **연습 1: 간단한 프로젝트 만들기** - 새 폴더를 만들고 Git 저장소로 초기화하기 - 간단한 텍스트 파일 만들기 - 파일을 add하고 commit하기 - 파일 내용 수정하기 - 변경사항을 다시 commit하기 **연습 2: 웹사이트 프로젝트** - HTML 파일 만들어서 커밋하기 - CSS 파일 만들어서 커밋하기 - JavaScript 파일 만들어서 커밋하기 - 각 단계마다 ''git status''와 ''git log'' 확인하기 **연습 3: 실수 복구하기** - 파일 내용을 잘못 수정하기 - ''git diff''로 변경사항 확인하기 - ''git checkout --''로 변경사항 되돌리기 ===== 🎓 마무리 ===== **축하합니다! 🎉 이제 Git의 기본 명령어를 모두 배우셨습니다.** **여러분이 배운 것들:** - ✅ Git 설치하고 설정하기 - ✅ 저장소 만들기 (`git init`) - ✅ 파일 추가하기 (`git add`) - ✅ 변경사항 저장하기 (`git commit`) - ✅ 상태 확인하기 (`git status`) - ✅ 히스토리 보기 (`git log`) - ✅ 변경사항 확인하기 (`git diff`) - ✅ 실수 되돌리기 **다음 단계로 넘어가기 전에:** - 위의 명령어들을 직접 여러 번 사용해보세요 - 실제 프로젝트에 적용해보세요 - 궁금한 점이 있으면 [[wiki:it:github:troubleshooting|문제 해결 가이드]]를 확인하세요 **이제 GitHub와 연동하여 내 코드를 세상과 공유해보세요!** 🌟 ---- **이전:** [[wiki:it:github:start|🏠 GitHub 가이드 홈]] | **다음:** [[wiki:it:github:remote_operations|🌐 GitHub와 연동하기]] | **목록:** [[wiki:it:github:start|📋 전체 문서 목록]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