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용자 도구

사이트 도구


wiki:it:programming:python

차이
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
차이 보기로 링크

다음 판
이전 판
wiki:it:programming:python [2025/07/31 06:53] – 만듦 syjang0803wiki:it:programming:python [2025/07/31 13:01] (현재) – [2) 연산자] syjang0803
줄 2: 줄 2:
  
 이 문서는 파이썬(Python)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적인 개념부터 실제 활용 예제까지 다루는 종합 가이드입니다. 파이썬은 배우기 쉽고 강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언어로, 초보자부터 숙련된 개발자까지 모두에게 유용합니다. 이 가이드를 통해 파이썬의 핵심 문법을 이해하고, 간단한 프로그램을 직접 작성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 이 문서는 파이썬(Python)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적인 개념부터 실제 활용 예제까지 다루는 종합 가이드입니다. 파이썬은 배우기 쉽고 강력하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는 언어로, 초보자부터 숙련된 개발자까지 모두에게 유용합니다. 이 가이드를 통해 파이썬의 핵심 문법을 이해하고, 간단한 프로그램을 직접 작성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.
 +
 +{{wiki:it:programming:python_1.png?600}}
 +
  
 ===== 1. 파이썬 개요 ===== ===== 1. 파이썬 개요 =====
  
-파이썬은 1991년 귀도 반 로섬(Guido van Rossum)이 개발한 고수준(high-level), 인터프리터(interpreted), 객체 지향(object-oriented)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. 간결하고 읽기 쉬운 문법으로 유명하며,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호환됩니다.+파이썬은 1991년 귀도 반 로섬(Guido van Rossum)이 개발한 **고수준(high-level)**, 인터프리터(interpreted), 객체 지향(object-oriented) 프로그래밍 언어입니다. 간결하고 읽기 쉬운 문법으로 유명하며,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호환됩니다. 
 + 
 +  * **고수준(high-level)** 은 우수하다는 말이 아닌, 기계어보다 사람의 언어에 가깝다는 의미입니다. 
 +  * **인터프리터(interpreted)** 는 코드를 실행 시점에 한 줄씩 해석하여 실행하는 방식을 의미합니다. 
 +  * **객체 지향(object-oriented)** 은 프로그램을 객체들의 상호작용으로 구성하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을 의미합니다.
  
 ---- ----
 ==== 1) 파이썬의 특징 ==== ==== 1) 파이썬의 특징 ====
  
-  **쉬운 학습 곡선**: 다른 언어에 비해 문법이 직관적이고 간결하여 빠르게 배울 수 있습니다. +  **쉬운 학습 곡선**: 다른 언어에 비해 문법이 직관적이고 간결하여 빠르게 배울 수 있습니다. 
-  **다양한 활용 분야**: 웹 개발, 데이터 과학, 인공지능, 자동화, 게임 개발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. +  * **다양한 활용 분야**: 웹 개발, 데이터 과학, 인공지능, 자동화, 게임 개발 등 광범위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. 
-  **강력한 라이브러리 생태계**: 수많은 내장 모듈과 외부 라이브러리(예: NumPy, Pandas, Django, Flask, TensorFlow)를 통해 복잡한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. +  * **강력한 라이브러리 생태계**: 수많은 내장 모듈과 외부 라이브러리(예: NumPy, Pandas, Django, Flask, TensorFlow)를 통해 복잡한 기능을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. 
-  **크로스 플랫폼**: Windows, macOS, Linux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동일하게 동작합니다. +  * **크로스 플랫폼**: Windows, macOS, Linux 등 다양한 운영체제에서 동일하게 동작합니다. 
-  **오픈 소스**: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고 기여할 수 있습니다.+  * **오픈 소스**: 누구나 자유롭게 사용하고 기여할 수 있습니다.
  
 ---- ----
줄 39: 줄 46:
  
   * **기본 자료형**:   * **기본 자료형**:
-    - **정수 (Integer)**: `age = 30` +    - **정수 (Integer)**: age = 30 
-    - **부동 소수점 (Float)**: `pi = 3.14159` +    - **부동 소수점 (Float)**: pi = 3.14159 
-    - **문자열 (String)**: `name = "Alice"(작은따옴표 또는 큰따옴표 사용) +    - **문자열 (String)**: name = "Alice" (작은따옴표 또는 큰따옴표 사용) 
-    - **불리언 (Boolean)**: `is_active = True(True 또는 False)+    - **불리언 (Boolean)**: is_active = True (True 또는 False)
   * **변수 할당 예시**:   * **변수 할당 예시**:
 <file> <file>
줄 69: 줄 76:
  
 ^ 연산자 종류 ^ 설명 ^ 예시 ^ 결과 ^ ^ 연산자 종류 ^ 설명 ^ 예시 ^ 결과 ^
-| 산술 연산자 | 덧셈, 뺄셈, 곱셈, 나눗셈, 나머지, 거듭제곱 | `5 + 2``5 - 2``5 * 2``5 / 2``5 % 2``5 ** 2`7``3``10``2.5``1``25+| 산술 연산자 | 덧셈, 뺄셈, 곱셈, 나눗셈, 나머지, 거듭제곱 | %%5 + 2%%%%5 - 2%%%%5 * 2%%%%5 / 2%%%%5 % 2%%%%5 ** 2%% | 7, 3, 10, 2.5, 1, 25 | 
-| 비교 연산자 | 두 값의 크기 비교 | `5 == 2``5 != 2``5 > 2``5 < 2``5 >= 2``5 <= 2`False``True``True``False``True``False+| 비교 연산자 | 두 값의 크기 비교 | %%5 == 2%%%%5 != 2%%%%5 > 2%%%%5 < 2%%%%5 >= 2%%%%5 <= 2%% | False, True, True, False, True, False | 
-| 논리 연산자 | 조건들을 조합 | `True and False``True or False``not True`False``True``False+| 논리 연산자 | 조건들을 조합 | %%True and False%%%%True or False%%%%not True%% | False, True, False | 
-| 할당 연산자 | 변수에 값 할당 | `x = 10``x += 5(x = x + 5) | `x`는 `10``x`는 `15|+| 할당 연산자 | 변수에 값 할당 | %%x = 10%%%%x += 5%% (x = x + 5) | x는 10, x는 15 |
  
 ---- ----
줄 161: 줄 168:
 introduce("박민준", 25) # 나이 지정 시 지정된 값 사용 introduce("박민준", 25) # 나이 지정 시 지정된 값 사용
 </file> </file>
-  * **가변 인자 (`*args``**kwargs`)**: +  * **가변 인자 (%%*args%%%%**kwargs%%)**: 
-    `*args`: 개수 제한 없이 위치 인자를 받을 때 사용합니다. 튜플 형태로 전달됩니다. + 
-    `**kwargs`: 개수 제한 없이 키워드 인자를 받을 때 사용합니다. 딕셔너리 형태로 전달됩니다.+  %%*args%%: 개수 제한 없이 위치 인자를 받을 때 사용합니다. 튜플 형태로 전달됩니다. 
 +  %%**kwargs%%: 개수 제한 없이 키워드 인자를 받을 때 사용합니다. 딕셔너리 형태로 전달됩니다. 
 + 
 <file> <file>
 def print_args(*args): def print_args(*args):
줄 190: 줄 200:
     - 다양한 자료형을 함께 저장할 수 있습니다.     - 다양한 자료형을 함께 저장할 수 있습니다.
   * **주요 연산**:   * **주요 연산**:
-    - `append()`: 요소 추가 +    - ''append()'': 요소 추가 
-    - `insert()`: 특정 위치에 요소 삽입 +    - ''insert()'': 특정 위치에 요소 삽입 
-    - `remove()`: 요소 제거 +    - ''remove()'': 요소 제거 
-    - `pop()`: 특정 인덱스의 요소 제거 및 반환 +    - ''pop()'': 특정 인덱스의 요소 제거 및 반환 
-    - `len()`: 길이 반환+    - ''len()'': 길이 반환
 <file> <file>
 my_list = [1, "hello", 3.14, True] my_list = [1, "hello", 3.14, True]
줄 245: 줄 255:
     - 값을 키를 통해 빠르게 검색할 수 있습니다.     - 값을 키를 통해 빠르게 검색할 수 있습니다.
   * **주요 연산**:   * **주요 연산**:
-    - `dict[key] = value`: 요소 추가 또는 변경 +    - ''dict[key] = value'': 요소 추가 또는 변경 
-    - `dict.get(key)`: 키에 해당하는 값 가져오기 (키가 없으면 None 반환) +    - ''dict.get(key)'': 키에 해당하는 값 가져오기 (키가 없으면 None 반환) 
-    - `del dict[key]`: 요소 제거 +    - ''del dict[key]'': 요소 제거 
-    - `dict.keys()`: 모든 키 반환 +    - ''dict.keys()'': 모든 키 반환 
-    - `dict.values()`: 모든 값 반환 +    - ''dict.values()'': 모든 값 반환 
-    - `dict.items()`: 모든 키-값 쌍 반환+    - ''dict.items()'': 모든 키-값 쌍 반환
 <file> <file>
 my_dict = {"name": "Alice", "age": 25, "city": "New York"} my_dict = {"name": "Alice", "age": 25, "city": "New York"}
줄 283: 줄 293:
     - 수학의 집합 연산(합집합, 교집합, 차집합)에 유용합니다.     - 수학의 집합 연산(합집합, 교집합, 차집합)에 유용합니다.
   * **주요 연산**:   * **주요 연산**:
-    - `add()`: 요소 추가 +    - ''add()'': 요소 추가 
-    - `remove()`: 요소 제거 +    - ''remove()'': 요소 제거 
-    - `union()`: 합집합 +    - ''union()'': 합집합 
-    - `intersection()`: 교집합 +    - ''intersection()'': 교집합 
-    - `difference()`: 차집합+    - ''difference()'': 차집합 
 <file> <file>
 my_set = {1, 2, 3, 4, 3, 2} # 중복 제거됨 my_set = {1, 2, 3, 4, 3, 2} # 중복 제거됨
줄 361: 줄 372:
 ==== 1) 파일 열기 및 닫기 ==== ==== 1) 파일 열기 및 닫기 ====
  
-`open()함수를 사용하여 파일을 열고, `close()메서드로 파일을 닫습니다. `with문을 사용하면 파일을 자동으로 닫아주므로 더 안전하고 편리합니다.+''open()'' 함수를 사용하여 파일을 열고, ''close()'' 메서드로 파일을 닫습니다. ''with'' 문을 사용하면 파일을 자동으로 닫아주므로 더 안전하고 편리합니다.
  
 ^ 모드 ^ 설명 ^ ^ 모드 ^ 설명 ^
-`'r'| 읽기 모드 (기본값). 파일이 없으면 오류. | +| 'r' | 읽기 모드 (기본값). 파일이 없으면 오류. | 
-`'w'| 쓰기 모드. 파일이 없으면 생성, 있으면 내용 삭제 후 새로 작성. | +| 'w' | 쓰기 모드. 파일이 없으면 생성, 있으면 내용 삭제 후 새로 작성. | 
-`'a'| 추가 모드. 파일이 없으면 생성, 있으면 기존 내용 끝에 추가. | +| 'a' | 추가 모드. 파일이 없으면 생성, 있으면 기존 내용 끝에 추가. | 
-`'x'| 배타적 생성 모드. 파일이 있으면 오류, 없으면 생성. | +| 'x' | 배타적 생성 모드. 파일이 있으면 오류, 없으면 생성. | 
-`'b'| 바이너리 모드 (예: `'rb'`, `'wb'`). | +| 'b' | 바이너리 모드 (예: `'rb'`, `'wb'`). | 
-`'t'| 텍스트 모드 (기본값). |+| 't' | 텍스트 모드 (기본값). |
  
 <file> <file>
줄 400: 줄 411:
 ===== 7. 예외 처리 ===== ===== 7. 예외 처리 =====
  
-프로그램 실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(예외)를 처리하여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것을 방지합니다. `try``except``finally블록을 사용합니다.+프로그램 실행 중 발생할 수 있는 오류(예외)를 처리하여 프로그램이 비정상적으로 종료되는 것을 방지합니다. ''try''''except''''finally'' 블록을 사용합니다.
  
 <file> <file>
wiki/it/programming/python.1753944829.txt.gz · 마지막으로 수정됨: 저자 syjang0803

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