사용자 도구

사이트 도구


wiki:it:linux:basic_commands

차이
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
차이 보기로 링크

다음 판
이전 판
wiki:it:linux:basic_commands [2025/07/28 05:57] – 만듦 - 바깥 편집 127.0.0.1wiki:it:linux:basic_commands [2025/07/31 01:24] (현재) – 바깥 편집 127.0.0.1
줄 6: 줄 6:
 **Linux 터미널이 처음이신가요?** 괜찮습니다! 차근차근 따라하다 보면 어느새 Linux 고수가 되어 있을 거예요. **Linux 터미널이 처음이신가요?** 괜찮습니다! 차근차근 따라하다 보면 어느새 Linux 고수가 되어 있을 거예요.
  
-===== 🎯 학습 목표 =====+---- 
 + 
 +===== 1. 🎯 학습 목표 =====
  
 이 가이드를 마치면: 이 가이드를 마치면:
-- **파일과 폴더**를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습니다 +  - **파일과 폴더**를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습니다 
-- **터미널에서 길을 잃지 않고**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 +  - **터미널에서 길을 잃지 않고**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 
-- **파일 내용을 확인**하고 **검색**할 수 있습니다 +  - **파일 내용을 확인**하고 **검색**할 수 있습니다 
-- **실무에서 자주 쓰는 명령어**들을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+  - **실무에서 자주 쓰는 명령어**들을 자연스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
  
-===== 🚀 Linux 터미널 첫 만남 =====+===== 2. 🚀 Linux 터미널 첫 만남 =====
  
-==== Linux가 뭔가요? ====+==== 1) Linux가 뭔가요? ====
  
 **Linux**는 스마트폰의 안드로이드, 웹사이트를 돌리는 서버, 심지어 냉장고까지! 우리 주변 어디에나 있는 운영체제입니다. **Linux**는 스마트폰의 안드로이드, 웹사이트를 돌리는 서버, 심지어 냉장고까지! 우리 주변 어디에나 있는 운영체제입니다.
줄 22: 줄 24:
 **터미널**은 마우스 클릭 대신 **글자로 명령**을 내리는 방식입니다. 처음엔 불편해 보이지만, 익숙해지면 마우스보다 훨씬 빠르고 정확해요! **터미널**은 마우스 클릭 대신 **글자로 명령**을 내리는 방식입니다. 처음엔 불편해 보이지만, 익숙해지면 마우스보다 훨씬 빠르고 정확해요!
  
-==== 터미널 열기 ====+---- 
 +==== 2) 터미널 열기 ====
  
 **Windows (WSL)**: **Windows (WSL)**:
-<code> +%%Windows 키 + R → "wsl" 입력 → 엔터%%
-Windows 키 + R → "wsl" 입력 → 엔터 +
-</code>+
  
 **Mac**: **Mac**:
-<code> +%%Cmd + Space → "터미널" 검색 → 엔터%%
-Cmd + Space → "터미널" 검색 → 엔터 +
-</code>+
  
 **Linux**: **Linux**:
-<code> +%%Ctrl + Alt + T%%
-Ctrl + Alt + T +
-</code>+
  
-===== 🧭 1단계: 내가 어디에 있는지 파악하기 =====+===== 3. 🧭 1단계: 내가 어디에 있는지 파악하기 =====
  
-==== pwd - 현재 위치 확인 ====+---- 
 +==== 1) pwd - 현재 위치 확인 ====
  
 **의미**: "Print Working Directory" (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 출력) **의미**: "Print Working Directory" (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 출력)
  
-<code bash>+<file bash>
 pwd pwd
-</code>+</file>
  
 **결과 예시**: **결과 예시**:
-<code>+<file>
 /home/username /home/username
-</code>+</file>
  
 **🔍 이해하기**:  **🔍 이해하기**: 
-- Linux에서는 모든 파일과 폴더가 **트리 구조**로 되어 있어요 +  - Linux에서는 모든 파일과 폴더가 **트리 구조**로 되어 있어요 
-`/`가 최상위 폴더(루트)이고, 그 아래로 가지를 뻗어나가는 형태 +  %%/%%가 최상위 폴더(루트)이고, 그 아래로 가지를 뻗어나가는 형태 
-`/home/username`은 "루트 아래 home 폴더 아래 username 폴더"를 의미+  %%/home/username%%은 "루트 아래 home 폴더 아래 username 폴더"를 의미
  
-==== ls - 현재 위치의 파일과 폴더 보기 ====+---- 
 +==== 2) ls - 현재 위치의 파일과 폴더 보기 ====
  
 **의미**: "List" (목록 보기) **의미**: "List" (목록 보기)
  
-<code bash>+<file bash>
 # 기본 사용법 # 기본 사용법
 ls ls
줄 75: 줄 74:
 # 자세한 정보 + 숨겨진 파일 모두 보기 # 자세한 정보 + 숨겨진 파일 모두 보기
 ls -la ls -la
-</code>+</file>
  
 **결과 해석**: **결과 해석**:
-<code>+<file>
 drwxr-xr-x  2 user user 4096 Jan 15 10:30 Documents drwxr-xr-x  2 user user 4096 Jan 15 10:30 Documents
 -rw-r--r--  1 user user 1234 Jan 15 09:15 hello.txt -rw-r--r--  1 user user 1234 Jan 15 09:15 hello.txt
-</code>+</file>
  
-- **첫 글자**: ''d''는 폴더, ''-''는 파일 +  - **첫 글자**: ''d''는 폴더, ''-''는 파일 
-- **숫자**: 파일 크기 (바이트) +  - **숫자**: 파일 크기 (바이트) 
-- **날짜/시간**: 마지막 수정 시간+  - **날짜/시간**: 마지막 수정 시간
  
-==== cd - 다른 폴더로 이동하기 ====+---- 
 +==== 3) cd - 다른 폴더로 이동하기 ====
  
 **의미**: "Change Directory" (디렉토리 변경) **의미**: "Change Directory" (디렉토리 변경)
  
-<code bash>+<file bash>
 # Documents 폴더로 이동 # Documents 폴더로 이동
 cd Documents cd Documents
줄 107: 줄 107:
 # 이전 위치로 돌아가기 # 이전 위치로 돌아가기
 cd - cd -
-</code>+</file>
  
 **💡 실습해보기**: **💡 실습해보기**:
-<code bash>+<file bash>
 pwd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 현재 위치 확인 pwd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 현재 위치 확인
 ls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# 뭐가 있는지 보기 ls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# 뭐가 있는지 보기
줄 117: 줄 117:
 cd ..                  # 다시 원래 위치로 cd ..                  # 다시 원래 위치로
 pwd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 돌아왔는지 확인 pwd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 돌아왔는지 확인
-</code>+</file>
  
-===== 📁 2단계: 폴더 만들고 지우기 =====+===== 4. 📁 2단계: 폴더 만들고 지우기 =====
  
-==== mkdir - 새 폴더 만들기 ====+---- 
 +==== 1) mkdir - 새 폴더 만들기 ====
  
 **의미**: "Make Directory" (디렉토리 생성) **의미**: "Make Directory" (디렉토리 생성)
  
-<code bash>+<file bash>
 # 기본 사용법 # 기본 사용법
 mkdir 새폴더 mkdir 새폴더
줄 134: 줄 135:
 # 중간 폴더가 없어도 자동으로 만들어주기 # 중간 폴더가 없어도 자동으로 만들어주기
 mkdir -p 프로젝트/문서/2024년/1월 mkdir -p 프로젝트/문서/2024년/1월
-</code>+</file>
  
 **💡 실습해보기**: **💡 실습해보기**:
-<code bash>+<file bash>
 mkdir 연습폴더 mkdir 연습폴더
 ls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# 폴더가 생겼는지 확인 ls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# 폴더가 생겼는지 확인
 cd 연습폴더 cd 연습폴더
 pwd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 들어왔는지 확인 pwd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 들어왔는지 확인
-</code>+</file>
  
-==== rmdir - 빈 폴더 지우기 ====+---- 
 +==== 2) rmdir - 빈 폴더 지우기 ====
  
 **의미**: "Remove Directory" (디렉토리 삭제) **의미**: "Remove Directory" (디렉토리 삭제)
  
-<code bash>+<file bash>
 # 빈 폴더만 삭제 가능 # 빈 폴더만 삭제 가능
 rmdir 빈폴더 rmdir 빈폴더
  
 # 폴더 안에 파일이 있으면 삭제 안됨 (안전장치) # 폴더 안에 파일이 있으면 삭제 안됨 (안전장치)
-</code>+</file>
  
 **⚠️ 주의**: ''rmdir''은 빈 폴더만 지울 수 있어요. 파일이 들어있는 폴더는 나중에 배울 ''rm -r''을 사용해야 합니다. **⚠️ 주의**: ''rmdir''은 빈 폴더만 지울 수 있어요. 파일이 들어있는 폴더는 나중에 배울 ''rm -r''을 사용해야 합니다.
  
-===== 📄 3단계: 파일 다루기 =====+===== 5. 📄 3단계: 파일 다루기 =====
  
-==== touch - 빈 파일 만들기 ====+---- 
 +==== 1) touch - 빈 파일 만들기 ====
  
 **의미**: 원래는 파일의 시간을 바꾸는 명령어인데, 파일이 없으면 새로 만들어줘요 **의미**: 원래는 파일의 시간을 바꾸는 명령어인데, 파일이 없으면 새로 만들어줘요
  
-<code bash>+<file bash>
 # 빈 파일 만들기 # 빈 파일 만들기
 touch 새파일.txt touch 새파일.txt
줄 169: 줄 172:
 # 여러 파일 한 번에 만들기 # 여러 파일 한 번에 만들기
 touch 파일1.txt 파일2.txt 파일3.txt touch 파일1.txt 파일2.txt 파일3.txt
-</code>+</file>
  
-==== cp - 파일 복사하기 ====+---- 
 +==== 2) cp - 파일 복사하기 ====
  
 **의미**: "Copy" (복사) **의미**: "Copy" (복사)
  
-<code bash>+<file bash>
 # 기본 사용법: cp 원본 복사본 # 기본 사용법: cp 원본 복사본
 cp 원본.txt 복사본.txt cp 원본.txt 복사본.txt
줄 183: 줄 187:
  
 # 다른 폴더로 복사하기 # 다른 폴더로 복사하기
-cp 파일.txt /다른/폴더/경로/ +cp 파일.txt %%/다른/폴더/경로/%% 
-</code>+</file>
  
 **💡 실습해보기**: **💡 실습해보기**:
-<code bash>+<file bash>
 touch 원본.txt          # 빈 파일 만들기 touch 원본.txt          # 빈 파일 만들기
 cp 원본.txt 복사본.txt   # 복사하기 cp 원본.txt 복사본.txt   # 복사하기
 ls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# 두 파일이 모두 있는지 확인 ls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 # 두 파일이 모두 있는지 확인
-</code>+</file>
  
-==== mv - 파일 이동하기 (이름 바꾸기) ====+---- 
 +==== 3) mv - 파일 이동하기 (이름 바꾸기) ====
  
 **의미**: "Move" (이동) **의미**: "Move" (이동)
  
-<code bash>+<file bash>
 # 파일 이름 바꾸기 # 파일 이름 바꾸기
 mv 옛이름.txt 새이름.txt mv 옛이름.txt 새이름.txt
  
 # 파일을 다른 폴더로 이동 # 파일을 다른 폴더로 이동
-mv 파일.txt /다른/폴더/+mv 파일.txt %%/다른/폴더/%%
  
 # 폴더 이름 바꾸기 # 폴더 이름 바꾸기
 mv 옛폴더명 새폴더명 mv 옛폴더명 새폴더명
-</code>+</file>
  
 **🔍 이해하기**: ''mv''는 이동과 이름 바꾸기를 동시에 할 수 있어요! **🔍 이해하기**: ''mv''는 이동과 이름 바꾸기를 동시에 할 수 있어요!
  
-==== rm - 파일 지우기 ====+---- 
 +==== 4) rm - 파일 지우기 ====
  
 **의미**: "Remove" (삭제) **의미**: "Remove" (삭제)
  
-<code bash>+<file bash>
 # 파일 삭제 # 파일 삭제
 rm 파일.txt rm 파일.txt
줄 223: 줄 229:
 # 폴더와 그 안의 모든 내용 삭제 # 폴더와 그 안의 모든 내용 삭제
 rm -r 폴더명 rm -r 폴더명
-</code>+</file>
  
 **⚠️ 경고**: ''rm''은 되돌릴 수 없어요! 특히 ''rm -r''은 매우 위험하니 조심하세요. **⚠️ 경고**: ''rm''은 되돌릴 수 없어요! 특히 ''rm -r''은 매우 위험하니 조심하세요.
  
 **💡 실습해보기**: **💡 실습해보기**:
-<code bash>+<file bash>
 touch 테스트.txt       # 테스트 파일 만들기 touch 테스트.txt       # 테스트 파일 만들기
 ls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 파일이 있는지 확인 ls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 파일이 있는지 확인
 rm 테스트.txt          # 파일 삭제 rm 테스트.txt          # 파일 삭제
 ls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 파일이 사라졌는지 확인 ls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 파일이 사라졌는지 확인
-</code>+</file>
  
-===== 📖 4단계: 파일 내용 보기 =====+===== 6. 📖 4단계: 파일 내용 보기 =====
  
-==== cat - 파일 내용 전체 보기 ====+---- 
 +==== 1) cat - 파일 내용 전체 보기 ====
  
 **의미**: "Concatenate" (연결하다) **의미**: "Concatenate" (연결하다)
  
-<code bash>+<file bash>
 # 파일 내용 보기 # 파일 내용 보기
 cat 파일.txt cat 파일.txt
줄 251: 줄 258:
 cat >> 파일.txt cat >> 파일.txt
 (내용 입력 후 Ctrl+D로 종료) (내용 입력 후 Ctrl+D로 종료)
-</code>+</file>
  
 **💡 실습해보기**: **💡 실습해보기**:
-<code bash>+<file bash>
 echo "안녕하세요" > 인사.txt    # 파일에 내용 쓰기 echo "안녕하세요" > 인사.txt    # 파일에 내용 쓰기
 cat 인사.txt                  # 내용 확인 cat 인사.txt                  # 내용 확인
-</code>+</file>
  
-==== less - 파일 내용 페이지별로 보기 ====+---- 
 +==== 2) less - 파일 내용 페이지별로 보기 ====
  
 **의미**: 긴 파일을 편리하게 볼 수 있어요 **의미**: 긴 파일을 편리하게 볼 수 있어요
  
-<code bash>+<file bash>
 less 긴파일.txt less 긴파일.txt
-</code>+</file>
  
 **조작법**: **조작법**:
-- **스페이스바**: 다음 페이지 +  - **스페이스바**: 다음 페이지 
-- **b**: 이전 페이지 +  - **b**: 이전 페이지 
-- **q**: 종료 +  - **q**: 종료 
-**/검색어**: 내용 검색 +  %%/검색어%%: 내용 검색 
-- **G**: 파일 끝으로 이동 +  - **G**: 파일 끝으로 이동 
-- **g**: 파일 처음으로 이동+  - **g**: 파일 처음으로 이동
  
-==== head - 파일 앞부분 보기 ====+---- 
 +==== 3) head - 파일 앞부분 보기 ====
  
 **의미**: 파일의 첫 몇 줄만 보기 **의미**: 파일의 첫 몇 줄만 보기
  
-<code bash>+<file bash>
 # 처음 10줄 보기 (기본값) # 처음 10줄 보기 (기본값)
 head 파일.txt head 파일.txt
줄 285: 줄 294:
 # 처음 5줄만 보기 # 처음 5줄만 보기
 head -n 5 파일.txt head -n 5 파일.txt
-</code>+</file>
  
-==== tail - 파일 뒷부분 보기 ====+---- 
 +==== 4) tail - 파일 뒷부분 보기 ====
  
 **의미**: 파일의 마지막 몇 줄만 보기 **의미**: 파일의 마지막 몇 줄만 보기
  
-<code bash>+<file bash>
 # 마지막 10줄 보기 (기본값) # 마지막 10줄 보기 (기본값)
 tail 파일.txt tail 파일.txt
줄 300: 줄 310:
 # 실시간으로 추가되는 내용 보기 (로그 파일에 유용) # 실시간으로 추가되는 내용 보기 (로그 파일에 유용)
 tail -f 로그파일.txt tail -f 로그파일.txt
-</code>+</file>
  
-===== 🔍 5단계: 파일과 내용 찾기 =====+===== 7. 🔍 5단계: 파일과 내용 찾기 =====
  
-==== find - 파일 찾기 ====+---- 
 +==== 1) find - 파일 찾기 ====
  
 **의미**: 조건에 맞는 파일을 찾아줘요 **의미**: 조건에 맞는 파일을 찾아줘요
  
-<code bash>+<file bash>
 # 현재 폴더에서 이름으로 찾기 # 현재 폴더에서 이름으로 찾기
 find . -name "*.txt" find . -name "*.txt"
  
 # 특정 폴더에서 찾기 # 특정 폴더에서 찾기
-find /home/user -name "*.pdf"+find %%/home/user%% -name "*.pdf"
  
 # 대소문자 구분 없이 찾기 # 대소문자 구분 없이 찾기
줄 323: 줄 334:
 # 파일만 찾기 # 파일만 찾기
 find . -type f -name "*.log" find . -type f -name "*.log"
-</code>+</file>
  
 **💡 실습해보기**: **💡 실습해보기**:
-<code bash>+<file bash>
 touch 테스트1.txt 테스트2.txt 문서.pdf    # 테스트 파일들 만들기 touch 테스트1.txt 테스트2.txt 문서.pdf    # 테스트 파일들 만들기
 find . -name "*.txt"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 txt 파일들 찾기 find . -name "*.txt"                    # txt 파일들 찾기
 find . -name "테스트*"                   # 테스트로 시작하는 파일 찾기 find . -name "테스트*"                   # 테스트로 시작하는 파일 찾기
-</code>+</file>
  
-==== grep - 파일 내용에서 텍스트 찾기 ====+---- 
 +==== 2) grep - 파일 내용에서 텍스트 찾기 ====
  
 **의미**: "Global Regular Expression Print" (전역 정규표현식 출력) **의미**: "Global Regular Expression Print" (전역 정규표현식 출력)
  
-<code bash>+<file bash>
 # 파일에서 특정 단어 찾기 # 파일에서 특정 단어 찾기
 grep "찾을단어" 파일.txt grep "찾을단어" 파일.txt
줄 351: 줄 363:
 # 찾은 단어 주변 3줄도 함께 보기 # 찾은 단어 주변 3줄도 함께 보기
 grep -C 3 "중요" 문서.txt grep -C 3 "중요" 문서.txt
-</code>+</file>
  
 **💡 실습해보기**: **💡 실습해보기**:
-<code bash>+<file bash>
 echo "안녕하세요 리눅스 세계입니다" > 인사.txt echo "안녕하세요 리눅스 세계입니다" > 인사.txt
 echo "리눅스는 정말 재미있어요" >> 인사.txt echo "리눅스는 정말 재미있어요" >> 인사.txt
 grep "리눅스" 인사.txt              # 리눅스가 포함된 줄 찾기 grep "리눅스" 인사.txt              # 리눅스가 포함된 줄 찾기
 grep -n "재미" 인사.txt             # 재미가 포함된 줄과 줄 번호 보기 grep -n "재미" 인사.txt             # 재미가 포함된 줄과 줄 번호 보기
-</code>+</file>
  
-===== 🎯 실전 연습 문제 =====+===== 8. 🎯 실전 연습 문제 =====
  
 **🏋️ 연습 1: 프로젝트 폴더 구조 만들기** **🏋️ 연습 1: 프로젝트 폴더 구조 만들기**
  
-<code bash>+<file bash>
 # 1. 홈 디렉토리에서 시작 # 1. 홈 디렉토리에서 시작
 cd ~ cd ~
줄 381: 줄 393:
 # 4. 구조 확인 # 4. 구조 확인
 find 내프로젝트 -type f find 내프로젝트 -type f
-</code>+</file>
  
 **🏋️ 연습 2: 파일 정리하기** **🏋️ 연습 2: 파일 정리하기**
  
-<code bash>+<file bash>
 # 1. 테스트 파일들 만들기 # 1. 테스트 파일들 만들기
 touch 문서1.txt 문서2.pdf 이미지1.jpg 이미지2.png 코드1.py touch 문서1.txt 문서2.pdf 이미지1.jpg 이미지2.png 코드1.py
줄 399: 줄 411:
 # 4. 결과 확인 # 4. 결과 확인
 ls -la 문서파일/ 이미지파일/ 코드파일/ ls -la 문서파일/ 이미지파일/ 코드파일/
-</code>+</file>
  
 **🏋️ 연습 3: 로그 파일 분석하기** **🏋️ 연습 3: 로그 파일 분석하기**
  
-<code bash>+<file bash>
 # 1. 가상의 로그 파일 만들기 # 1. 가상의 로그 파일 만들기
 echo "2024-01-15 10:30:00 INFO 서버 시작" > 서버.log echo "2024-01-15 10:30:00 INFO 서버 시작" > 서버.log
줄 415: 줄 427:
 grep -c "INFO" 서버.log         # INFO 로그 개수 세기 grep -c "INFO" 서버.log         # INFO 로그 개수 세기
 tail -n 2 서버.log              # 마지막 2줄만 보기 tail -n 2 서버.log              # 마지막 2줄만 보기
-</code>+</file>
  
-===== 💡 꿀팁 모음 =====+===== 9. 💡 꿀팁 모음 =====
  
 **🚀 생산성 향상 팁**: **🚀 생산성 향상 팁**:
  
 1. **Tab 키 활용**: 파일명이나 폴더명을 일부만 입력하고 Tab을 누르면 자동완성! 1. **Tab 키 활용**: 파일명이나 폴더명을 일부만 입력하고 Tab을 누르면 자동완성!
-   <code bash> +<file bash> 
-   cd Doc[Tab]  # Documents로 자동완성 +cd Doc[Tab]  # Documents로 자동완성 
-   </code>+</file>
  
 2. **히스토리 활용**: 이전에 입력한 명령어 재사용 2. **히스토리 활용**: 이전에 입력한 명령어 재사용
-   <code bash> +<file bash> 
-   history          # 이전 명령어 목록 보기 +history          # 이전 명령어 목록 보기 
-   !123            # 123번째 명령어 다시 실행 +!123            # 123번째 명령어 다시 실행 
-   !!              # 바로 이전 명령어 다시 실행 +!!              # 바로 이전 명령어 다시 실행 
-   </code>+</file>
  
 3. **와일드카드 활용**: 여러 파일을 한 번에 처리 3. **와일드카드 활용**: 여러 파일을 한 번에 처리
-   <code bash> +<file bash> 
-   ls *.txt        # 모든 txt 파일 +ls *.txt        # 모든 txt 파일 
-   ls test?.txt    # test1.txt, test2.txt 등 +ls test?.txt    # test1.txt, test2.txt 등 
-   ls test[1-3].txt # test1.txt, test2.txt, test3.txt +ls test[1-3].txt # test1.txt, test2.txt, test3.txt 
-   </code>+</file>
  
 4. **명령어 조합**: 여러 명령어를 한 번에 4. **명령어 조합**: 여러 명령어를 한 번에
-   <code bash> +<file bash> 
-   mkdir 새폴더 && cd 새폴더    # 폴더 만들고 바로 이동 +mkdir 새폴더 && cd 새폴더    # 폴더 만들고 바로 이동 
-   ls -la | grep "txt"         # 파일 목록에서 txt만 필터링 +ls -la | grep "txt"         # 파일 목록에서 txt만 필터링 
-   </code>+</file>
  
 **⚠️ 주의사항**: **⚠️ 주의사항**:
-- ''rm -rf''는 매우 위험해요! 복구 불가능합니다. +  - ''rm -rf''는 매우 위험해요! 복구 불가능합니다. 
-- 중요한 파일은 항상 백업하세요 +  - 중요한 파일은 항상 백업하세요 
-- 명령어를 모르면 ''man 명령어''로 도움말을 확인하세요 +  - 명령어를 모르면 ''man 명령어''로 도움말을 확인하세요 
-- 파일명에 공백이 있으면 따옴표로 감싸주세요: ''"파일 이름.txt"''+  - 파일명에 공백이 있으면 따옴표로 감싸주세요: ''"파일 이름.txt"''
  
 **🎓 다음 단계**: 기본 명령어가 익숙해지면 [[wiki:it:linux:advanced_commands|권한 설정 & 고급 명령어]]로 넘어가세요! **🎓 다음 단계**: 기본 명령어가 익숙해지면 [[wiki:it:linux:advanced_commands|권한 설정 & 고급 명령어]]로 넘어가세요!
  
-===== 📚 참고자료 =====+===== 10. 📚 참고자료 =====
  
-- **공식 문서**: https://linux.die.net/man/ +  - **공식 문서**: %%https://linux.die.net/man/%% 
-- **연습 사이트**: https://cmdchallenge.com/ +  - **연습 사이트**: %%https://cmdchallenge.com/%%
-- **치트시트**: https://www.cheatsheet.wtf/Linux/+
  
 **💬 도움이 필요하면**: 각 명령어 뒤에 ''--help''를 붙이거나 ''man 명령어''를 입력하면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어요!  **💬 도움이 필요하면**: 각 명령어 뒤에 ''--help''를 붙이거나 ''man 명령어''를 입력하면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어요! 
 +
wiki/it/linux/basic_commands.1753682235.txt.gz · 마지막으로 수정됨: 저자 127.0.0.1

Donate Powered by PHP Valid HTML5 Valid CSS Driven by DokuWiki