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iki:hr:statistics:r_programming_guide
차이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다음 판 | 이전 판 | ||
wiki:hr:statistics:r_programming_guide [2025/07/28 05:57] – 만듦 - 바깥 편집 127.0.0.1 | wiki:hr:statistics:r_programming_guide [2025/07/31 06:35] (현재) – syjang0803 | ||
---|---|---|---|
줄 3: | 줄 3: | ||
**" | **" | ||
+ | {{wiki: | ||
---- | ---- | ||
줄 178: | 줄 179: | ||
</ | </ | ||
- | **`summary(model)` 핵심 해석법: | + | **'' |
- | * **`Estimate`**: 각 원인이 1단위 증가할 때 결과가 얼마나 변하는지 (영향력의 크기) | + | * **'' |
- | * **`Pr(>|t|)` (p-value)**: | + | * **'' |
- | * **`Adjusted R-squared`**: 이 모델이 결과(만족도)의 변동을 몇 %나 설명하는지 (모델의 전반적인 설명력) | + | * **'' |
---- | ---- | ||
줄 187: | 줄 188: | ||
> **💡 최종 정리**: | > **💡 최종 정리**: | ||
> 이 가이드를 통해 우리는 R이라는 도구로 데이터의 **①자기소개를 듣고(기술통계) → ②관계를 추측하고(추론통계) → ③미래를 예측하는(회귀분석)** 기본적인 데이터 분석의 전 과정을 경험했습니다. 통계는 정답을 찾는 학문이 아니라, 데이터를 통해 더 나은 질문과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도록 돕는 과정입니다. | > 이 가이드를 통해 우리는 R이라는 도구로 데이터의 **①자기소개를 듣고(기술통계) → ②관계를 추측하고(추론통계) → ③미래를 예측하는(회귀분석)** 기본적인 데이터 분석의 전 과정을 경험했습니다. 통계는 정답을 찾는 학문이 아니라, 데이터를 통해 더 나은 질문과 합리적인 의사결정을 하도록 돕는 과정입니다. | ||
+ |
wiki/hr/statistics/r_programming_guide.1753682235.txt.gz · 마지막으로 수정됨: 저자 127.0.0.1