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iki:hr:labor_administration:yearendtax
차이
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.
다음 판 | 이전 판 | ||
wiki:hr:labor_administration:yearendtax [2025/07/29 03:45] – 만듦 syjang0803 | wiki:hr:labor_administration:yearendtax [2025/07/31 06:21] (현재) – [1. 서론] syjang0803 | ||
---|---|---|---|
줄 1: | 줄 1: | ||
- | ===== 연말정산 실무 가이드: 이것만 알면 된다! ===== | + | ====== 연말정산 실무 가이드: 이것만 알면 된다! |
- | ==== 1. 서론 ==== | + | ===== 1. 서론 |
직장인이라면 매년 1월 또는 2월에 반드시 거쳐야 하는 연말정산은 ' | 직장인이라면 매년 1월 또는 2월에 반드시 거쳐야 하는 연말정산은 ' | ||
+ | |||
+ | {{wiki: | ||
---- | ---- | ||
- | ==== 2. 연말정산의 핵심 원리 ==== | + | ===== 2. 연말정산의 핵심 원리 |
---- | ---- | ||
- | === 1) 연말정산이란? | + | ==== 1) 연말정산이란? |
연말정산은 근로소득자가 한 해 동안 받은 총 급여에 대해 미리 납부한 세금(원천징수)과 최종적으로 납부해야 할 세금을 비교하여 차액을 정산하는 절차입니다. 한 마디로, ''' | 연말정산은 근로소득자가 한 해 동안 받은 총 급여에 대해 미리 납부한 세금(원천징수)과 최종적으로 납부해야 할 세금을 비교하여 차액을 정산하는 절차입니다. 한 마디로, ''' | ||
---- | ---- | ||
- | === 2) 기본 흐름 이해 === | + | ==== 2) 기본 흐름 이해 |
연말정산은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흐름으로 진행됩니다. 이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| 연말정산은 다음과 같은 기본적인 흐름으로 진행됩니다. 이 흐름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| ||
* '' | * '' | ||
줄 26: | 줄 28: | ||
---- | ---- | ||
- | ==== 3. 2025년 귀속 연말정산 과세표준 구간 (현행법 기준) ==== | + | ===== 3. 2025년 귀속 연말정산 과세표준 구간 (현행법 기준) |
세금 계산의 핵심인 ' | 세금 계산의 핵심인 ' | ||
---- | ---- | ||
- | === 1) 종합소득세율표 === | + | ==== 1) 종합소득세율표 |
^ 과세표준 (원) ^ 세율 (%) ^ 누진공제액 (원) ^ | ^ 과세표준 (원) ^ 세율 (%) ^ 누진공제액 (원) ^ | ||
| 1,400만원 이하 | 6 | - | | | 1,400만원 이하 | 6 | - | | ||
줄 45: | 줄 47: | ||
---- | ---- | ||
- | ==== 4. 주요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 항목 ==== | + | ===== 4. 주요 소득공제 및 세액공제 항목 |
---- | ---- | ||
- | === 1) 인적공제 === | + | ==== 1) 인적공제 |
기본공제는 본인, 배우자, 부양가족에 대해 1인당 연 150만원을 공제해 줍니다. | 기본공제는 본인, 배우자, 부양가족에 대해 1인당 연 150만원을 공제해 줍니다. | ||
* '' | * '' | ||
줄 55: | 줄 57: | ||
---- | ---- | ||
- | === 2) 연금/ | + | ==== 2) 연금/ |
* '' | * '' | ||
* '' | * '' | ||
줄 62: | 줄 64: | ||
---- | ---- | ||
- | === 3)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 소득공제 === | + | ==== 3) 신용카드 등 사용금액 소득공제 |
총 급여액의 25%를 초과하여 사용한 금액에 대해 공제율을 적용합니다. | 총 급여액의 25%를 초과하여 사용한 금액에 대해 공제율을 적용합니다. | ||
* '' | * '' | ||
줄 72: | 줄 74: | ||
---- | ---- | ||
- | === 4) 의료비 세액공제 === | + | ==== 4) 의료비 세액공제 |
총 급여액의 3%를 초과하는 의료비에 대해 15% 세액공제 (난임시술비 30%, 미숙아·선천성이상아 20%). | 총 급여액의 3%를 초과하는 의료비에 대해 15% 세액공제 (난임시술비 30%, 미숙아·선천성이상아 20%). | ||
* '' | * '' | ||
---- | ---- | ||
- | === 5) 교육비 세액공제 === | + | ==== 5) 교육비 세액공제 |
* '' | * '' | ||
* '' | * '' | ||
줄 84: | 줄 86: | ||
---- | ---- | ||
- | === 6) 기부금 세액공제 === | + | ==== 6) 기부금 세액공제 |
기부금 유형에 따라 공제율이 다릅니다. | 기부금 유형에 따라 공제율이 다릅니다. | ||
* '' | * '' | ||
줄 91: | 줄 93: | ||
---- | ---- | ||
- | === 7) 주택자금 관련 공제 === | + | ==== 7) 주택자금 관련 공제 |
* '' | * '' | ||
* '' | * '' | ||
줄 97: | 줄 99: | ||
---- | ---- | ||
- | === 8) 연금저축 및 퇴직연금 세액공제 === | + | ==== 8) 연금저축 및 퇴직연금 세액공제 |
* 연금저축계좌 납입액의 13.2% 또는 16.5% 세액공제 | * 연금저축계좌 납입액의 13.2% 또는 16.5% 세액공제 | ||
* '' | * '' | ||
줄 103: | 줄 105: | ||
---- | ---- | ||
- | ==== 5. 실무 절차 및 유의사항 ==== | + | ===== 5. 실무 절차 및 유의사항 |
---- | ---- | ||
- | === 1)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활용 === | + | ==== 1) 국세청 연말정산 간소화 서비스 활용 |
연말정산의 가장 중요한 도구는 국세청의 '' | 연말정산의 가장 중요한 도구는 국세청의 '' | ||
* '' | * '' | ||
줄 115: | 줄 117: | ||
---- | ---- | ||
- | === 2) 증빙 서류 준비 및 제출 === | + | ==== 2) 증빙 서류 준비 및 제출 |
* 간소화 서비스에서 조회되는 자료는 별도 제출 없이 PDF로 다운로드하여 회사에 제출합니다. | * 간소화 서비스에서 조회되는 자료는 별도 제출 없이 PDF로 다운로드하여 회사에 제출합니다. | ||
* 간소화 서비스에서 조회되지 않는 자료는 해당 기관에서 직접 증명서류를 발급받아 제출해야 합니다. | * 간소화 서비스에서 조회되지 않는 자료는 해당 기관에서 직접 증명서류를 발급받아 제출해야 합니다. | ||
줄 121: | 줄 123: | ||
---- | ---- | ||
- | === 3) 환급액 확인 및 경정청구 === | + | ==== 3) 환급액 확인 및 경정청구 |
* '' | * '' | ||
* '' | * '' | ||
줄 127: | 줄 129: | ||
---- | ---- | ||
- | ==== 6. 결론 ==== | + | ===== 6. 결론 |
연말정산은 단순히 세금을 납부하는 것을 넘어, 한 해 동안의 재정 관리와 절세 노력을 결산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. ' | 연말정산은 단순히 세금을 납부하는 것을 넘어, 한 해 동안의 재정 관리와 절세 노력을 결산하는 중요한 과정입니다. ' | ||
+ | |||
+ | |||
+ | |||
+ |
wiki/hr/labor_administration/yearendtax.1753760752.txt.gz · 마지막으로 수정됨: 저자 syjang0803